Media & Culture

  • HOME
  • 낙원추모공원
  • Media & Culture

낙원추모공원의 다양한 활동을 전해드립니다.

  • "미술관이야?카페야?" 달라지는 추모시설
    (2023.11.13_MBC 뉴스투데이)

  • 낙원추모공원 에데나 MBC, KNN TV광고

  • 조상묘에 쓰레기를…"플라스틱 조화 그만"
    (2023년 1월 23일_KBS뉴스)

  • MBC 생방송 오늘아침
    (2024년 2월 8일_MBC)

  • 이번 설, ‘플라스틱 꽃’ 대신 ‘말린 꽃’ 어때요
    (2023년 1월 20일_KBS뉴스)

  • 낙원추모공원 홍보영상
    (2022년 12월_YouTube 명당가)

  • 낙원추모공원 광고영상
    (2022년 8월)

  • 플라스틱 조화 근절 공원묘원 조화 반입 금지
    (2022년 1월 31일_KNN뉴스)

  • 공원묘역에서 조화 퇴출..탄소중립 한 걸음
    (2022년 1월 16일_MBC경남 뉴스데스크)

  • 올해 설부터 김해 공원묘원 4곳 ‘플라스틱 조화 반입 금지’
    (2022년 1월 14일_채널e뉴스)

  • 부산 서면, 연산, 미남교차로 전광판광고
    (2023년)

  • 부산 버스, 지하철광고
    (2023년)

gall_prev.png gall_next.png

국내 유일, 시니어 토털 케어 플랫폼 "케어닥" 박재병 대표님 집필 "실버 웨이브" 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25-05-12 14:42

본문

8015ffdd34fa2a87e038e6db66b1d84f_1747028526_3485.jpg 


낙원추모공원과 협약을 체결한 국내 유일, 시니어 토털 케어 플랫폼 "케어닥" 박재병 대표님이 집필한 "실버 웨이브" 라는 책을 소개해드립니다.


실버 웨이브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시작, 누가 먼저 기회를 잡을 것인가?


1,000만 고령인구가 만든 ‘실버 웨이브’가 대한민국을 강타한다

: 초고령사회 대한민국, 누가 새 기회를 선점할 것인가?


대한민국은 2024년에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서며 전체 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과학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변화의 시대를 예견하며 제1의 물결(농업)과 제2의 물결(산업)에 이어 제3의 물결(기술)을 형성한다고 말했다. 이 책의 제목인 ‘실버 웨이브Silver Wave’는 그 제3의 물결만큼이나 크고 새로운 고령인구의 물결이 대한민국을 휘감으며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단순히 고령화 문제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비즈니스 기회와 산업적 가능성에 집중한다. 초고령사회가 가져오는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 속에서 시니어 주거, 돌봄 서비스, 헬스케어 등 새로운 산업들이 급성장할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 박재병 케어닥 대표는 ‘실버 웨이브’를 기회로 보고 기업과 정부가 어떤 방향으로 준비하고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적 접근법을 제시한다. 초고령사회 시대에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기회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실버 웨이브를 맞은 대한민국의 현재는 어떠한가

: 고령 포비아 VS 새로운 비즈니스 시작의 기회는 열려 있다


이 책은 고령화가 가져오는 경제적 부담과 사회적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며 그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도 안내한다. 저자는 고령화가 단지 고령인구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하며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구조적 변화와 그로 인한 산업적 기회를 함께 논의한다. 노인 빈곤, 건강 관리 비용 증가, 사회적 고립 등 초고령사회에서 발생할 문제들이 대한민국에서 경제적 부담을 어떻게 증가시키는지를 다룬다. 고령화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은 국가의 재정에 큰 부담을 준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 복지 정책을 강화하고 있지만 그 한계점도 분명하다. 예를 들어 노인 장기 요양 보험 시스템은 고령화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저자는 초고령사회가 기회로 전환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고령화는 새로운 비즈니스 시장과 산업 혁신을 만들어낸다. 시니어 산업은 기존의 노인 복지와 관련된 서비스들뿐만 아니라 시니어 맞춤형 상품, 헬스케어, 여가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급성장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초고령사회에서 소비자의 주요 타깃층으로 떠오른 시니어들의 소비력을 분석하며 프리미엄 소비와 고급화된 서비스를 선호하는 트렌드를 보여준다. 특히 초고령사회에서는 시니어 주거, 돌봄 서비스, 건강 관리와 같은 분야에서 새로운 기회가 열린다. 저자는 이들 산업에서 민간 부문이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초고령사회에서 기술 혁신이 고령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다루며 에이지테크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혁신 기술이 고령화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를 설명한다.

초고령사회는 단지 경제적 부담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저자는 고령화가 가져올 사회적 기회와 비즈니스 기회를 잘 활용하면,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로 전환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기업들이 이 변화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시장 분석 및 전략적 접근법을 제시하며 초고령사회를 긍정적인 기회로 활용할 방안을 안내한다.



봉안당
 
둘러보기
TOP